변수는 왜 사용할까 ? 가장 큰 이유는 그 데이터를 한번쓰고 버리지 않기위해 사용한다. 언젠간 또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문제는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언제나 가지고 있어야한 조그만 방이 필요하다. 즉, 변수를 선언한다는 말이다. 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 공간에 붙여진 이름 :이 공간은 메모리에 할당이된다. (메모리한테 유니크한 주소를 받아온다.) 선언 int a = 10; 그럼 상수란 무엇일까? 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 공간에 붙여진 이름 값을 바꾸지 않겠다. 보통 상수의 뜻을 "값이 변하지 않는 변수" 라고 알고있지만, 그것은 하나의 특징일 뿐이다. 선언 final int a = 10; 그럼 10은 과연 무엇이라고 부를까? 책을 잘 읽어보면 "정수형상수값" 라고 부른다. 상수를 ..
객체 VS 인스턴스 차이점 객체의 사전적인 정의는 실제로 존재하는 것 이고 프로그래밍에서의 객체는 메모리에 생성된 것을 뜻한다. 그럼 인스턴스도 이와 같은말인가? 둘이 같은 의미이지만 문맥에 따라 구별하는 것이 좋다.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만드는 과정을 클래스의 인스턴스화(instantiate) 라고 하며,어떤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를 그 클래스의 인스턴스(instance)라고 한다. 예를 들자면, Tv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를 Tv클래스의 인스턴스라고 한다. 결국 인스턴스는 객체와 같은 의미지만, "객체"는 모든 인스턴스를 대표하는 포괄적인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인스턴스"는 어떤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것인지를 강조하는 것 보다 구체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책상은 인스턴스다 -> 책상은 객체다. ..
- Total
- Today
- Yesterday
- jdk1.7 다운
- merge into 같은 테이블
- npm이란
- 개발자퇴사
- 개발자
- ORACLE MERGE INTO 동일테이블
- 알고리즘
- 자바
- C++
- package.json
- 신입개발자퇴사
- merge into 단일테이블
- 신입사원개발자
- 파이썬
- ORACLE MERGE INTO USING DUAL
- jdk 이전버전 다운
- 신입사원
- ORACLE MERGE INTO 같은테이블
- 단일쿼리문
- Java
- 백준
- ORACLE 단일테이블
- 인스턴스
- 초보개발자
- 백준알고리즘
- java1.7 다운
- merge into using dual
- merge into
- npm init
- merge into using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