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렁어 #dspmq : 시스템에 있는 큐관리자의 이름 및 세부사항을 표시 #crtmqm -q TEST1 : TEST1이란 큐 관리자를 만들어 준다. #dspmq : 현재 큐 관리자 상태를 알 수 있다. 우리가 앞에서 만들었던 TEST1을 볼 수 있다. 아직은 종료상태. #strmqm : 큐관리자 시작 #dspmq : 큐관리자 상태. 종료 - > 실행 중 으로 상태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다. mqsc 명령을 사용하여 큐 관리자, 큐, 프로세스 정의, 채널 등등 관리 가능하다. #runmqsc TEST1 : TEST1 관리자 큐를 실행 : #dis : DISPLAY와 관련된 명령어가 무지무지 많군,,, 를 구현한 시스템을 "메시지 큐(Message Queue : MQ)" 라 ..
동기식 비동기식 분명 배운거 같았는데 기억이 안나는건 왜일까. ㅜ 일단 클라이언트와 서버 개념을 먼저 알아야한다.클라이언트에서 작업을 요청하면 서버에서 응답하는 형식인데, 이 응답하는 방식에 따라 동기식/비동기식으로 나뉜다. 여기서 동기식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어야만 서버가 응답을 보내고 서버의 응답을 기다리다가 응답이 와야만그에 따라 클라이언트가 반응하는 방식으로 클라이언트와의 작업을 하나로 일치시킨다. 쉽게 말하자면 상대방의 일정 신호에 의해서 다음 동작이 이루어지면 "동기"이와 반대로 상대방의 상태와 관계없이 일방적으로 동작하면 "비동기"비동기는 한번 전송을 시작하면 전~부다 보낸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파이썬
- ORACLE MERGE INTO USING DUAL
- 단일쿼리문
- merge into
- 백준알고리즘
- merge into 같은 테이블
- npm이란
- 신입개발자퇴사
- ORACLE 단일테이블
- java1.7 다운
- merge into using dual
- 개발자
- ORACLE MERGE INTO 같은테이블
- 초보개발자
- 백준
- 개발자퇴사
- merge into using
- 알고리즘
- 자바
- C++
- Java
- ORACLE MERGE INTO 동일테이블
- package.json
- 신입사원
- 신입사원개발자
- merge into 단일테이블
- jdk 이전버전 다운
- jdk1.7 다운
- 인스턴스
- npm ini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