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MQ 설치는 새로운 노트북이 오면 다시 하는 걸로 하고 지금은 개념정리를 먼저 한다.


메시지 큐에 대해서 여러 자료를 찾아 정리한 내용이다.


웹 서버를 구성하게 되면 성능에 대한 고려는 빼먹을 수 없다.

쨋든 그 이유는 데이터를 처리를 하다보면 너무 많은 처리로 인해 대기하는 요청이 쌓이게 된다.

그리고 서버의 성능이 저하되고 최악악의 경우에는 서버가 다운되는 상항까지 직면하게 된다..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위해 여러가지를 시도하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비동기 메시지 처리방식" 을 사용하여 다른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의미하는 방식 즉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 (Message Oriented Middleware : MOM)를 구현한 시스템을 

"메시지 큐(Message Queue : MQ)" 라 한다.  


(비동기식과 동기식이란 ? -> https://nibble2.tistory.com/4 )



메시지 큐 방식 사용


1. 어플리케이션 A와 어플리케이션 B가 통신할 때, 중간에 큐라는 매개체를 놓고 간접 통신하는 방식이다.

어플리케이션은 target이 되는 큐의 이름만 알고 있으면 됨 (큐의 실제 위치, 수신 시스템 상황, 네트워크 상황 관계 없다.)


2. 비 동기 처리 방식 

송신 어플리케이션 A는 수신 어플리케이션 B의 가동상태나 B가 운영되는 시스템의 가동상태에 무관하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으며,

수신 큐의 triggering 조건을 설정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B의 가동 조절 가능


분산된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인 가동 및 독립적인 가동 보장된다.


요청과 응답이 분리된 처리



'IBM MQ > IBM MQ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기식 비동기식이란 ? (EAI, MQ)  (0) 2018.10.11